오늘은 이사할 때 알아두면 좋을 이사 준비과정을 가져왔습니다!
그럼 어떤식으로 이사를 해야 좋은지,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사천리로 이사하는 방법
한 달 전에 미리 준비하면 좋은 것들.
1. 이삿짐센터 예약하기.
> 이사철에는 늦어도 한 달 정도의 여유를 두고 이삿짐센터를 예약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삿짐센터는 센터별로 서비스의 질과 비용이 천차만별이므로 천천히 여유를 가지고 비교하면서 어느 센터가 좋을지 미리 정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2. 미리 배치도를 그려서 가상으로 가구 배치해보기.
> 집을 계약하셨다면 노트와 줄자, 펜을 준비하세요. 또 폰에 있을 기본 어플인 나침반을 사용하여 세 얻은 집을 이사하기 전에 한번 더 방문하여 구조도를 그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때 폭과 높이를 잘 기록해두세요! 그래야 이사하면 기존 가구나 전자제품을 새로운 집에 맞춰서 배치할 수 있습니다. 또 미리 그리고 생각해둔다면 이사 당일날 이삿짐을 풀 때 한결 더 순조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 가구를 살 때도 배치도를 참고한다면 반품비용으로 돈을 낭비하는 일이 줄어들 것입니다.
이사하기 2~3주 전에 미리 준비하면 좋을 것들.
1. 버릴 물건에 폐기물 스티커 붙이기.
> 폐기물 스티커는 주민센터로 가거나, 구청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온라인으로도 발급이 가능하니 미리 준비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도배장판을 새로 해야 하는 경우.
> 도배장판을 새로 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 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아무래도 가구가 없을 때 도배장판을 하는 것이 여러모로 편하니까요. 만약 세입자가 아직 살고 있다면 이사 당일에 도배장판을 해야 하므로 미리 준비해두고 스케줄을 조율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일주일 전에 준비하면 좋은 것들.
1. 집주소 변경하기
> 자신이 사용하는 은행과, 카드사, 보험회사와 우체국에 연락하여 우편물의 주소지를 새로 이사할 집으로 변경해달라 요청하세요. 신문이나, 우유를 정기적으로 받고 계시다면 주소지를 옮기거나 전화해서 그만 넣으라고 요청해야 합니다.
참고사항으로 KT 홈 주소변경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몇몇 군데의 경우 일괄적으로 주소변경을 하실 수 있습니다.
2. 인터넷과 도시가스
> 인터넷, 전화, TV, 도시가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통신사나 지역 도시가스공사에 미리 변경 신청을 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관련 서류 미리 준비하기
> 전세권 설정등기를 해야 하는 경우는 필요한 서류를 따로 뽑아 보관해두세요. 이사 당일에는 제정신을 차리기 힘들 예정이므로 미리 빼두지 않으면 재발급해야 하는 사태가 생기거나 제때 등기를 하지 못하여 큰 손해를 입을 수도 있습니다.
이사 당일
1. 각종 공과금 정산.
> 이사 당일 오전에 계량기 수치를 확인한 후 각 고지서에 적혀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해서 계량기 수치를 불러주세요. 그렇게 하면 상담원이 정확한 요금을 안내해줄 것입니다. 그러면 금액과 내용을 적어두었다가 새로 들어오는 세입자에게 내역서와 돈을 건네주거나 집주인에게 부탁하여 정산하세요. 또는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세입자를 대신하여 이사 당일 정산해주기도 한다고 하니 중개업소에 부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전입신고, 확정일자 받기
> 이사를 왔으니 내 보증금을 보호받기 위해선 주민센터에 전입신고를 하고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
요즘에는 인터넷으로도 편하게 전입신고가 가능합니다.
'세상 돌아가는 소식 > 복작복작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로마신화 - 포세이돈 (0) | 2022.06.04 |
---|---|
기초 세금 상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04 |
임대주택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02 |
어린이에게 책을 읽어주세요! (0) | 2022.06.01 |
카카오 메타버스? (0) | 2022.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