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염병 중 하나인 백일해 증상과 성인 예방접종
최근들어 학교, 회사 등 전염병이 돌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백일해'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백일해의 원인과 특징, 예방접종에 대한 내용입니다.
백일해는 기침을 동반하여 사람과 사람사이에 전염성이 매우 강하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심할 경우 환자는 격리 후 관리해야 한다네요.
백일해?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 중 하나를 의미합니다. 보통 여름과 가을에 백일해의 발병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가족이나 집단 내에서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한다고 합니다. 연령이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아지며, 1세 미만의 사망률이 가장 높습니다. 현재는 예방접종으로 인하여 백일해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백일해의 원인
백일해의 감염은 백일해에 걸린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과 기침 및 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전파에 의해 주로 이루어진다합니다. 백일해에는 감연되었지만 특징적인 백일해 소견이 없는 어른과 큰 어린이가 소아의 주요 감염원 역할을 한다합니다. 성인의 경우에는 드물게 2주이상 기침이 지속되는 만성 기침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백일해의 증상
백일해의 잠복기는 보통 4일~21일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징은 6~8주 동안 3단계로 구분되기도 합니다.
- 초기 : 가장 전염력이 강한 시기
> 1~2주 지속되며 콧물, 결막염, 눈물, 경미한 기침, 발열 등 감기증상이 동반됩니다. 기침이 점차 심해지면서 '흡'하는 소리가 들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침이 계속 지속될 시에는 얼굴에 열이 올라 빨갛게 변하며, 눈충혈, 끈끈한 가래가 나오기도 합니다. - 중기 : 2~4주 정도 지속
>무호흡, 청색증, 비출혈, 경막하 출혈, 하안검 부종 등 - 말기(회복기) : 1~2주 지속
>모든것이 점차 감소
백일해 치료
백일해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잠복기와 발병 후 14일 이내에 항생제의 한 종류인 아지스로마이신을 투여합니다. 3개월 미만의 영아와 심폐 질환과 신경 질환이 있는 소아의 경우에는 합병증과 2차 건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병원에서 입원 후에 경과를 지켜본다고 합니다.
다들 백일해 조심하세요!
'세상 돌아가는 소식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코플라즈마폐렴 정보 치료 증상 (1) | 2024.10.15 |
---|---|
몸에서 보내는 살찌는 신호 '이 냄새' 주의하세요! (0) | 2024.08.22 |
급여 비급여 차이 뜻 비급여 진료비용 정보 알아보기 (0) | 2024.07.09 |